14강: 명령어 집합 구조, CISC와 RISC(CISC = INTEL, RISC → APPLE)

명령어의 세세한 생김새, 연산, 주소지정 방식 등은 CPU마다 다르다.

명령어 집합(구조) : CPU가 이해할 수 있는 명령어들의 모음

⇒ CPU의 언어이자 하드웨어가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이해할지에 대한 약속

CISC(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): 복잡한 명령어 집합을 활용하는 컴퓨터(CPU)

장점:

  1. 다양하고 강력한 명령어를 사용
  2.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명령어로도 프로그램 실행할 수 있음

단점:

  1. 명령어 파이프라이닝이 불리(파이프라인은 클럭주기 일정해야 클럭당 탁탁탁 여러개 처리 가능)

    :복잡 다양한 기능 제공→명령어의 크기와 실행시간이 일정치 않고, 여러 클럭주기 필요

  2. 게다가, 대다수의 복잡한 명령어는 사용 빈도가 낮다.

RISC(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) : 명령어 종류가 적고, 짧고 규격화된 명령어 사용

장점:

  1. 짧고 규격화됨 = 파이프라이닝에 유리
  2. 메모리 접근 최소화(load, store), 레지스터 활용⬆️ = 범용 레지스터의 종류가 더 많음

단점:

  1. 명령어의 종류가 CISC보다 적기에 더 많은 명령어로 프로그램 동작시킴

정리:

스크린샷 2023-11-03 오전 10.48.46.png

but, 현대시점에서는 CISC를 실제로 실행될때는 RISC처럼 잘게 쪼개서 이용한다.